본문 바로가기
뉴스데스크

“그날도 봄날이었네, 오월” 어머니들의 노래(R)

(앵커)
어제 윤석열 대통령과 5.18 기념식에
함께 입장한 분들이죠.

오월의 어머니들이 저마다 가슴에 묻어둔 사연을
가지고 무대에 섰습니다.

주현정기자가 보도합니다.

(기자)

임근단/(5·18 최초 광주 사망자 故 김경철 어머니)
“맞아도 아픈지 몰랐다네,
몸보다 아픈 건 마음이네.
망월동 넘어가세, 망월동 넘어가세.
나 돌아갈 적에 열심히 살았다 말해주오”


평범했던 퇴근길,
듣지도, 말하지 못한다는 이유로
계엄군에 붙잡혀 구타당해 숨진
5·18 최초 희생자 김경철씨의
어머니가 가슴에 묻어둔
이야기를 노래를 통해 꺼냅니다.

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희생당한 탓에
22년만에야 행방불명자 묘역에서 아들을 찾은
이근례 어머니도

(녹취)이근례/故 권호영 어머니
“애써 ‘엄마,엄마’...”

평생을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는
남편을 지켜봐야했던 아내의 사연도

(녹취)추혜성/5·18 유공자 김영붕 아내
“내 지난날들은 들꽃 같았네. 이름도 없이 우는 꽃.”

오월어머니들의 한많은 삶은 노래가 됐습니다.

(인터뷰)임근단/故 김경철 어머니
“누구보다 나는 5·18이 되면
마음이 괴로웠던 사람입니다.
그렇지만 이런 일(노래) 하고 보니까
이겨 낼 생각이 날 때.”

(인터뷰)추혜성/ 김영붕 아내
“지금까지는 (오월어머니들이)
계속 투쟁만 했죠. 투쟁만 했는데.
문화적으로도 이렇게 승화가 되는구나.”

‘그때 왜 막지 못했을까’
가족의 죽음을 막아내지 못했다는 자책으로
죄인 아닌 죄인으로 살았던
어머니들을 무대로 이끌었던 건
죽기 전에 내 가족이 무엇을 위해 희생됐는지를
한 사람에게라도 더 알리기 위해서입니다.

(인터뷰)이명자 /故 정동년 아내
“‘어머니의 노래’를 통해서 트라우마도
상당히 치료가 됐고,
우리 어머니들의 삶이 행복하고.”

(인터뷰)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
"문화예술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잊지 않도록
조금 더 승화시키고
(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기획하게 됐다)"

객석에서 오월 어머니들의 공연을
집중해서 보는 관객들 중에는 전두환의 손자
전우원씨도 있었습니다.

무대 위 노래하는 자신을 지켜보고 있을 아들에게
어머니는 할 말이 있습니다.

(녹취)김길자/故 문재학 어머니
“재학아, 엄마 안 보고 싶었어?
다음에 천국에서 또 만나자.
엄마 기다리고 있어잉.”


MBC뉴스 주현정입니다.

◀END▶
주현정